[강철의 전술학개론] 스리백이냐 포백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포백 편)
강철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 부위원장이 독자들을 위한 전술팁을 전한다
황선홍 감독과 함께 포항 스틸러스에서 물러난 강철 전 코치가 올해부터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황 감독을 보좌해 부산 아이파크(2008~2010)와 포항 스틸러스(2011~2015)에서 코치로 활약한 그는 포항의 전성기를 뒷받침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그런 그가 <ONSIDE> 독자를 위해 전술 팁을 전해주기로 했다. 그의 네 번째 레슨은 포백에 관한 것이다.
지난 시간에는 스리백 수비에 대한 일반론과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살펴봤다. 2010년 부산의 스리백이 수비를 든든히 하면서 역습에 치중한 반면 올해 서울의 스리백은 유기적인 포지션 체인지를 바탕으로 한 공격적인 전술이다. 스리백이라고 하더라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팀 컬러가 180도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이번 시간에는 포백에 대해 알아보자. 포백은 중앙 수비수 2명과 측면 수비수 2명으로 구성돼있다. 스리백이 중앙 수비수 3명에 양쪽 윙백까지 더하면 5명이 수비라인을 구성한다고 봤을 때 4명이 서는 포백이 숫자상 한 명이 부족하다. 그래서 포백이 대체로 스리백보다 더 공격적이라고들 말한다. 하지만 이는 도식적인 차이에 불과하다.
포백 수비, 핵심은 간격과 커뮤니케이션
스리백과 포백의 가장 큰 차이는 대인방어와 지역방어의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스리백 수비가 일대일 맨마킹을 하는 경우가 많다면 포백 수비는 수비수간 간격 유지를 하면서 공간을 막는 개념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포백이 서로간의 약속된 플레이만 잘 이뤄진다면 스리백보다 오히려 더 쉽게 수비를 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선수들끼리 약속된 움직임이 나오지 않으면 스리백보다 위기 상황을 더 많이 맞이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포백 수비는 간격 유지와 커뮤니케이션이 생명이다. 스리백 수비는 우리 진영에 많은 선수를 두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약속이 없어도 공을 가진 선수와 가까운 수비수가 그 선수를 막으면 된다. 또한 수비수들의 위치 변화가 많지 않아 안정된 플레이를 펼칠 수 있다. 반면 지역방어에 기반을 둔 포백은 공을 가진 선수와 공간으로 침투하는 선수를 동시에 막을 수 있는 위치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내 주변에 있는 수비수가 침투나 돌파를 허용할 경우 이에 대비한 커버 플레이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최근 포백 수비를 가장 효율적으로 펼치는 팀은 스페인 프로축구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다. 나는 포항 코치 시절부터 시메오네 감독이 이끄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를 롤모델로 삼고 주의 깊게 살펴봤다. 수비라인에 서 있는 선수들이 마치 끈으로 서로를 묶어놓은 것처럼 조직적으로 움직인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특히 잘 하는 수비가 측면 미드필더의 압박에 이은 패스 차단이다. 현대축구에서는 측면 미드필더의 역할, 특히 수비에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들이 중앙으로 들어오는 패스 길목을 차단하는 동시에 주변에 있는 두세 명의 선수가 패스를 받을 선수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압박해 볼을 빼앗는 것이다.
생각보다 짧은 한국의 포백 역사
지금은 포백이 대세지만 1990년대만 하더라도 포백은 선수들에게 낯설었다. 여담이지만 내가 유공에 입단한 1993년에는 프로 무대에서 포백을 쓰는 팀이 한 팀도 없었다. 내가 포백을 처음 접한 것은 이듬해인 1994년 1월 일본 히로시마 전지훈련을 할 때였다. 당시 우리가 히로시마와의 연습경기에서 0-3으로 패했는데 히로시마가 포백을 썼다. 당시 히로시마에 있던 노정윤에게 물어봤는데 노정윤도 일본에 처음 왔을 때 이런 포메이션이 있는지 몰랐다며 깜짝 놀랐다고 한다.
일본은 1993년 J리그가 출범하면서 해외 유명 감독을 데려와 그들을 통해 포백을 배웠다. 초등학교에서도 포백을 쓰고 있더라. 일본축구협회 차원에서 유소년까지 포백 시스템을 보급했다. 우리도 유소년부터 대표팀까지 일관된 포메이션과 전술로 훈련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사실 포백이든, 스리백이든 수비의 기본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둘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알고 팀 구성에 알맞은 포메이션과 전술을 구사한다면 팀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다. 그러한 작은 차이를 만드는 것이 지도자가 해야할 일이다.
* 이 글은 대한축구협회 기술리포트&매거진 <ONSIDE> 5월호 'MASTER-CLASS' 코너에 실린 기사입니다.
구술=강철(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 부위원장)
정리=오명철
사진=FAphotos
'축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널티킥, 왜 다시 차죠? (0) | 2016.05.19 |
---|---|
김신욱의 헤더 노하우는? (0) | 2016.05.18 |
[스포츠인권 칼럼 2] 우월성과 차별 (0) | 2016.05.18 |
포지션 파괴자, 박진섭 (0) | 2016.04.23 |
한국 축구 지도자들에게 김호는 이렇게 말했다 (0) | 2016.04.23 |